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QGIS 사용법 입문자 가이드: 첫 화면부터 따라하기

by 맵리남 2025. 4. 21.

QGIS는 무료 오픈소스 지리정보시스템(GIS)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QGIS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설명해 드립니다.

1. QGIS 설치하기

QGIS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1. QGIS 공식 웹사이트(https://qgis.org/ko/site/forusers/download.html)에 접속합니다.
  2. 사용 중인 운영체제(Windows, Mac, Linux)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합니다.
  3. 다운로드된 설치 파일을 실행하고 안내에 따라 설치를 진행합니다.
  4. 설치 시 기본 옵션을 그대로 두고 '다음'을 클릭하여 설치를 완료합니다.

TIP: 최신 버전과 장기 지원(LTS) 버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안정성을 우선시한다면 LTS 버전을 권장합니다.

2. QGIS 첫 실행 및 인터페이스 익히기

 

QGIS 첫 화면 살펴보기

QGIS를 처음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들을 볼 수 있습니다:

  • 메뉴 바: 상단에 위치한 주요 기능 메뉴들 (파일, 편집, 보기 등)
  • 도구 모음: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의 아이콘 모음
  • 패널: 왼쪽의 브라우저 패널과 레이어 패널
  • 맵 캔버스: 중앙의 지도가 표시되는 주요 작업 영역
  • 상태 바: 하단의 좌표, 축척 등 정보 표시줄

TIP: 패널은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보기 메뉴에서 패널을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3. 새 프로젝트 시작하기

프로젝트 생성 및 저장

  1. 파일 > 새 프로젝트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N(Windows/Linux) 또는 Cmd+N(Mac)을 사용합니다.
  2. 프로젝트를 저장하려면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고 원하는 위치와 파일명을 지정합니다.
  3. 프로젝트 파일은 .qgz 확장자로 저장됩니다.

TIP: 자주 저장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Ctrl+S(Windows/Linux) 또는 Cmd+S(Mac) 단축키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4. 좌표계 설정하기

프로젝트 좌표계 설정 방법

  1. 프로젝트 > 속성을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Shift+P를 사용합니다.
  2. 좌표계 탭을 클릭합니다.
  3. 검색창에 좌표계 이름이나 EPSG 코드를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4. 한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좌표계:
    • EPSG:5179 - 한국 2000 중부벨트
    • EPSG:5174 - 한국 2000 서부벨트
    • EPSG:5181 - 한국 2000 동부벨트
    • EPSG:4326 - WGS84 (세계 공통)

주의: 모든 레이어는 같은 좌표계로 투영되어 표시됩니다. 다른 좌표계의 데이터를 불러오면 자동으로 프로젝트 좌표계로 변환됩니다.

5. 데이터 불러오기

벡터 데이터 불러오기

  1.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벡터 레이어 추가를 선택하거나 왼쪽 도구 모음의 벡터 레이어 추가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원하는 shp, geojson 등의 파일을 선택합니다.
  3. 불러온 레이어는 왼쪽 레이어 패널에 표시됩니다.

래스터 데이터 불러오기

  1.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래스터 레이어 추가를 선택하거나 래스터 레이어 추가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원하는 GeoTIFF, JPG 등의 파일을 선택합니다.

TIP: 브라우저 패널에서 파일을 직접 맵 캔버스로 드래그앤드롭해도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6. 기본 탐색 도구 사용하기

지도 탐색 기본 도구

  • 확대/축소: 도구 모음의 돋보기 아이콘을 사용하거나 마우스 휠을 사용합니다.
  • 이동: 손바닥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스페이스바를 누른 상태에서 지도를 드래그합니다.
  • 전체 보기: 지도 전체를 보려면 보기 > 전체 보기 또는 단축키 Ctrl+Shift+F를 사용합니다.
  • 레이어로 확대: 레이어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레이어로 확대를 선택합니다.

7. 레이어 스타일 변경하기

벡터 레이어 스타일 설정

  1. 레이어 패널에서 스타일을 변경할 레이어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을 선택합니다.
  2. 심볼 탭을 클릭합니다.
  3. 단일 심볼, 분류된 심볼, 등급 심볼 등 다양한 유형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색상, 투명도, 테두리 등 다양한 속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래스터 레이어 스타일 설정

  1. 래스터 레이어 속성에서 심볼 탭을 클릭합니다.
  2. 렌더링 유형, 색상표, 밝기/대비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8. 레이어 라벨 추가하기

텍스트 라벨 설정 방법

  1. 레이어 속성 창에서 라벨 탭을 클릭합니다.
  2. '라벨 없음'을 '단일 라벨'로 변경합니다.
  3. 라벨로 표시할 속성 필드를 선택합니다.
  4. 글꼴, 크기, 색상, 버퍼 등 다양한 라벨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TIP: 라벨 표현식을 사용하면 여러 필드를 조합하거나 조건에 따라 다른 라벨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표현식 버튼(ε)을 클릭하여 표현식 편집기를 활용하세요.

9. 속성 테이블 사용하기

속성 데이터 확인 및 편집

  1. 레이어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속성 테이블 열기를 선택하거나 레이어를 선택한 상태에서 F6 키를 누릅니다.
  2.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고 필터링, 정렬할 수 있습니다.
  3. 편집 모드로 전환하려면 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4. 새 필드를 추가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 편집 후에는 반드시 저장 버튼을 클릭해야 변경사항이 적용됩니다. 저장하지 않고 편집 모드를 종료하면 변경사항이 사라집니다.

10. 지도 내보내기

지도 이미지로 내보내기

  1. 프로젝트 > 가져오기/내보내기 > 지도 이미지로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2. 저장 위치, 파일 형식(PNG, JPEG, PDF 등), 해상도 등을 설정합니다.
  3.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내보냅니다.

인쇄 레이아웃 사용하기

  1. 프로젝트 > 새 인쇄 레이아웃을 선택합니다.
  2. 레이아웃 이름을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3. 지도, 범례, 축척막대, 제목 등 다양한 요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4. 완성된 레이아웃은 이미지나 PDF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11. 플러그인 설치 및 활용

유용한 플러그인 설치 방법

  1.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를 선택합니다.
  2. '모두' 탭에서 원하는 플러그인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3. 설치하려는 플러그인을 선택하고 '플러그인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천 플러그인

  • QuickMapServices: 배경 지도(Google, OSM 등)를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 MMQGIS: 다양한 지오프로세싱 도구를 제공합니다.
  • QuickOSM: OpenStreetMap 데이터를 빠르게 불러올 수 있습니다.
  • Processing Toolbox: 기본 내장된 다양한 공간 분석 도구를 제공합니다.

12. 기본 공간 분석 도구 사용하기

벡터 분석 도구

  1. 처리 > 툴박스를 선택하여 처리 툴박스를 엽니다.
  2. 벡터 분석 도구 섹션에서 다양한 분석 기능을 찾을 수 있습니다.
  3. 주요 분석 도구:
    • 버퍼: 포인트, 라인, 폴리곤 주변에 일정 거리의 영역을 생성합니다.
    • 교차: 두 레이어의 겹치는 부분을 추출합니다.
    • 융합: 동일한 속성값을 가진 인접한 피처들을 합칩니다.
    • 공간 조인: 공간적 위치 관계에 따라 속성을 결합합니다.

TIP: 처리 툴박스 상단의 검색창을 활용하면 원하는 도구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 가이드에서는 QGIS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QGIS는 매우 강력한 GIS 도구이며, 이 가이드에서 다룬 내용보다 훨씬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계속해서 실습하고 공식 문서와 튜토리얼을 참고하면서 QGIS 활용 능력을 향상시켜 보세요.